부산외국어대학교 CORE사업단. Powered by Blogger.
레이블이 알마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알마티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야생화3/카자흐스탄] GTE아카데미

 (숙소 로비)

저희는 1월 13일 금요일 인천공항에서 출발하여 오후 11시경 카자흐스탄 알마티 지역에 도착했습니다.


 (꼭또베)

1월 14일 토요일, 알마티의 대표 관광지 꼭또베에 방문하였습니다. 유원지, 동물원 등이 복합관광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알마티의 전경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다고 하지만 저희가 갔을 때는 아쉽게도 안개가 끼어 관광을 하기가 많이 힘들었습니다.

 (질료늬 바자르)

1월 15일 일요일, 먼저 카자흐스탄의 대표 재래시장인 “질료늬 바자르”, 직역하면 녹색 시장이라는 곳에 갔습니다. 이 곳에는 많은 상인들이 각 구역 별로 다양한 물품들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고려인들 또한 이 곳에서 장사를 하고 있어서 한국어로 저희와 대화하기도 하였습니다.


 (판필로프와 28인의 용사들)

그 후 저희는 알마티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판필로프 공원에 방문하였습니다. 28공원이라는 별칭도 가지고 있습니다. 2차세계대전 당시 소련의 육군장군 판필로프 외 그의 소총병소대 28명이 독일의 기갑사단을 막아낸 사건을 기념하기위해 지어졌다고 합니다.
 
 

3번째로 저희가 방문한 곳은 알마티국립중앙박물관입니다. 알마티의 대표적인 박물관인 만큼 카자흐스탄의 선사시대부터 현재의 이 나라가 있기까지의 역사와 문화들이 깃들어 있는 곳이기도 했습니다. 한 가지 신기한 점은 박물관에서 한국에 관련 된 문화자산 및 정보들도 많이 전시되어있다는 점이었습니다.


 


1월 16일 월요일, 본격적으로 수업이 시작되었습니다. 카자흐스탄에 관한 특강들과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언어교환 탄뎀수업 등 여러 수업을 들었습니다. 서로의 문화에 대해, 가치관에 대해 토의해보기도 하고 상황극을 해보기도 하는 등 다양한 수업을 하였습니다.



1월 22일 문화 체험촌에 가서 카자흐스탄식 천막 유르따도 보고 썰매도 타고 말도 탔습니다.



1월 28일 저희는 카자흐스탄친구들과 아파트를 빌려 함께 음식을 만들어주며 같이 놀았습니다. 카자흐친구들은 카자흐스탄 전통요리 비쉬마르마크를 만들어주었고, 우리는 떡국과 불고기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1월 30일에는 동계 유니버시아드 아이스하키경기를 관람하기도 했습니다.

처음 와보는 카자흐스탄, 알마티이지만 러시아와는 달리 너무나 외국인, 특히나 한국인에게 호의적이라 적응하기가 훨씬 쉬었고 음식도 입에 잘 맞아 너무 좋았습니다.




작성자: 허영범

[야생화3/카자흐스탄] 카자흐스탄 알마티 생활


1월13일금요일. 알마티 숙소에 도착 후 앞으로 간단한 일정과 계획 등을 회의한 후 좋은 성과를 거두자고 다짐하면서 사진 한 컷 !


 

1월15일일요일. 아침 조식을 먹었는데 처음에는 굉장히 맛있었다. 그런데 문제가 맨날 똑같다는 점이다. 이 날 오후는 카자흐스탄 친구들과 같이 Коктобе라는 곳을 갔다. 케이블카를 타고 올라 갔는데 온 도시가 눈으로 뒤덮혀 있어서 매우 아름다웠다. 여긴 약간 어린이용 놀이공원 느낌이었고 날씨 탓에 아무것도 운영을 하지 않았다.





1월16일 월요일. 모두 옷을 차려 입고 학교를 갔다. 첫 만남인 만큼 각자 자기소개를 하고 카자흐스탄 학생 2명 한국 학생 2명에 1팀으로 총5팀을 뽑았다.팀별로 앉아서 서로서로 얘기하는데 한국어랑 러시아어를 섞어서 얘기하니까 되게 재미있었다.


수업 가기 전 호텔 로비에 모여서 회의하는 모습.






첫째 주에 수업하는 모습들. 카자흐스탄에 대해서 몰랐던 역사들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 CIS 법인그룹이 하는 일, 산전수전 겪으며 느낀 본인들의 경험 등 여러 가지 교훈들과 유익한 정보들을 많이 담을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탄뎀수업으로는 상황에 맞게 러시아어로 1번, 한국어로 1번 앞에서 발표를 하기도 하고 팀원들과 같이 토론한 뒤 각 팀들만의 의견들을 얘기하는 수업들로 진행되었다.


 
 

1월21일 토요일. 이 날은 판필로프 28공원과 이슬람 성당 그리고 박물관을 다녀왔다.박물관에 한국코너가 꽤 많이 차지하고 있었다. 카자흐스탄 친구들한테 설명을 같이 들으면서 구석구석 다 돌아다녔고 이슬람성당에 가서는 `아잔`이라는 것을 듣고 나왔다. 솔직히 별로 흥미가 없었다.






1월22일 일요일. Лесная сказка 라는 곳을 다녀왔다. 스케이트도 타고 말도 탔지만 제일 재미있었던건 튜브썰매였다.아쉽게도 사진이 없지만 봅슬레이 타는 느낌이 이런 느낌이겠구나하고 생각했다. 밖으로 튕길 듯 말 듯 더 재미있게 탈려고 튜브를 3개 4개 묶어서 같이내려오기도했다. 이 날을 생각하면 이 튜브썰매 생각밖에 안난다.





1월24일 화요일.조별활동으로 `라그만`이라는 볶음우동 느낌의 음식도 먹고 같이 볼링도 치러갔다. 카자흐스탄 친구들이 굉장히 활동적이여서 너무 너무 좋았다.



 
1월27일 금요일. 한식당에 가서 제일 좋아하는 음식인 김치볶음밥을 먹었던 날. 시킨 음식 전부 다 맛있었고 오랜만에 배부르게 먹었던 날. 식사를 하고 `노크두번하지마`라는 호러물인 영화를 보러갔다. 진짜 너무너무 재미없었고 실망을 엄청 많이 했다.
 


 
1월31일 화요일. 유니버시아드 아이스하키 한-일전을 단체로 관람하러 갔다. 경기시작 전부터 심장이 두근두근거렸다. 관중들이 그렇게 많지는 않았지만 일본을 응원하는 사람들에 비해 한국을 응원하는 사람들이 압도적이었다. 1쿼터 2쿼터 때는 비등비등하게 2-2로끝났지만 3쿼터 때는 1골 먹히고 나서부터 한국선수들 멘탈이 나갔던 것 같다. 마지막에 2골을 연속으로 더 먹혀서 결과는 5-2로 일본 승. 매우 씁쓸하고 아쉬웠던 경기였다.




작성자: 김영진

[야생화3/카자흐스탄] Global Korea Global Almaty – 알마티 탐방기, 그 첫번째 -

저희 알마티팀은 1월 13일 금요일 인천공항으로부터 출발하여 오후 11시경 카자흐스탄 알마티 지역에 도착하였는데요. 도착 후 곧바로 숙소로 이동하여 토요일 일정부터의 준비를 했습니다.
 
(숙소 로비)
 
 
 
1월 14일 토요일, 알마티의 대표 관광지 꼭또베에 방문하였습니다. 유원지, 동물원 등이 복합관광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어 알마티의 전경을 한 눈에 바라볼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많은 연인들이 데이트 코스로 방문하기도 하는 곳이라고도 합니다.
 
(꼭또베)
 
 
 
1월 15일 일요일, 무려 3개의 관광지에 방문을 하였는데요.
먼저 한국에는 동묘, 국제시장 등의 재래시장이 있다면 이 곳 알마티에는 “질료늬 바자르”, 직역하면 녹색 시장이라는 재래시장이 있었습니다. 이 곳에는 많은 상인들이 각 구역 별로 다양한 물품들을 판매하고 있었습니다. 한 가지 특이한 점은 많은 고려인들 또한 이 곳에서 장사를 하고 있었던 것인데요. 오랜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한국어를 구사하고 있었습니다.
 
(질료늬 바자르)
 
 
 
다음으로 방문한 곳은 알마티 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판필로프 공원인데요. 한국에서는 28공원으로 알려져 있죠. 2차세계대전 당시 소련의 육군장군 판필로프 외 그의 소총병소대 28명이 독일의 기갑사단을 막아낸 실화를 바탕으로 판필로프 공원, 28용사공원이라는 이름이 지어졌다고 합니다.
 
(판필로프와 28인의 용사들)
 
 
 
3번째로 저희가 방문한 곳은 알마티국립중앙박물관인데요. 알마티의 중심 박물관인만큼 카자흐스탄의 선사시대부터 현재의 이 나라가 있기까지의 역사와 문화들이 깃들어 있는 곳이기도 했습니다. 한 가지 신기한 점은 박물관에서 한국에 관련 된 문화자산 및 정보들도 많이 개시가 되어있다는 점이었습니다.
 
 
 
 
1월 16일 월요일부터 1월 20일 금요일, 본격적으로 알마티에서의 강의가 시작되었는데요. “카자흐스탄의 석유산업”, “카자흐스탄 소개”, “카자흐스탄의 한국기업 동향”, “카자흐스탄과 한국의 기업문화” 등에 대한 주제에 대한 내용을 듣고 서로 토의를 하는 시간이 진행되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카자흐스탄의 석유산업, 에너지산업에 관심이 많았던 저에게는 많은 도움이 되는 그러한 시간이었습니다.
 


 
처음으로 와보는 카자흐스탄, 알마티란 지역에 도착하여 많은 것들이 낯설었지만 모두가 러시아어권 지역으로 교환학생 및 어학연수를 다녀온지라 적응하는데는 그리 어렵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카자흐스탄의 석유산업”이란 주제로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작성자: 이수종 

 
CORE 야생화(野生花)프로젝트 © | Template by Blogger Templates Gallery collaboration with Life2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