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외국어대학교 CORE사업단. Powered by Blogger.

[야생화3/카자흐스탄] 다문화 사회로서의 카자흐스탄과 그 문화적 포용성

안녕하세요, 러시아어학과 10학번 허영범입니다. 저는 이번 프로젝트의 주제를 다문화 사회로서의 카자흐스탄과 그 문화적 포용성으로 정했습니다. 실크로드의 교차점에 위치했던 카자흐스탄이 얼마나 다양한 문화에 대해 포용적인지 알아보고 그것을 다문화사회로 진입하는 우리나라에 어떻게 접목시킬 것인지 고민하는 것이 저의 목표입니다.
    
 
 

 
51일은 국제 노동절로서 전 세계 대부분의 나라가 이 날을 기념합니다. 하지만 카자흐스탄에서는 이 날을 특별하게 기념합니다. 이 날은 카자흐스탄에서 민족화합의 날입니다. 카자흐스탄에는 120여개의 민족이 모여 삽니다. 15세기 때부터 카자흐인들이 유목생활을 하며 정착하게 된 이곳이 어떻게 다양한 민족이 어울려 사는 '샐러드 보울(salad bowl)'이 되었을까요?
    
 
 
19세기 중반부터 카자흐스탄은 제정러시아의 영향아래에 있었습니다. 그이후로 소련이 붕괴되기 전까지 카자흐스탄은 러시아의 압제아래에 러시아화 되고 카자흐 전통문화는 탄압받았습니다. 그 과정에서 슬라브인들을 카자흐스탄에 대거 이주시키고, 스탈린 시기에는 고려인을 포함한 다양한 민족들을 강제이주 시켰습니다. 그리하여 민족 구성 비율을 보면 카자흐인 53.4%, 러시아인 30%, 우크라이나인 3.7%, 우즈베크인 2.5%, 독일인 2.4%, 타타르족 1.7%, 위구르인 1.4%, 기타 4.9%로 나타나있습니다. 한민족도 9번째로 0.6%인 약 10만 명이 거주하고 있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 카자흐스탄의 주민 (두산백과) 참조


    
 
 
이러한 역사적 이유로 인해 다민족국가가 된 카자흐스탄. 다양한 민족과 종교로 인해 큰 갈등이 많았을 것 같지만 놀랍게도 이 곳에는 민족적, 종교적 갈등으로 인한 사건사고가 전무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같은 다민족국가인 미국은 반이민법을 비롯한 이방인에 대한 배척정책이 나오고 있고, 인종갈등은 끊이질 않고 있습니다. 무엇이 카자흐스탄과 미국을 다르게 만들었을까요? 다문화 사회에 진입할 대한민국은 어느 길 쪽으로 가고 있을까요?
 
저는 이 내용을 세 가지로 나누어 알아보려합니다.
첫 번째로는 통계로 살펴보는 카자흐스탄입니다. 실제로 카자흐스탄의 다양한 민족들이 차별 없이 공평한 대우를 받으며 살고 있는지 문화적 포용성 수준이 어떠한지 객관적으로 알아볼 것입니다.
 
두 번째로 역사로 살펴보는 카자흐스탄입니다. 카자흐스탄지역의 역사를 돌아보며 문화적 다양성, 포용성이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었는지 알아보고 카자흐인들의 이방인에 관대한 국민성을 이해해보고자 합니다. , 91년 독립이후 다민족국가가 된 카자흐스탄의 근대사를 보고 민족갈등이 없지 않았는지, 어떻게 풀어나갔는지 알아볼 것입니다.
 
세 번째로 다문화국가 대한민국입니다. 단일민족 국가라던 우리나라가 매년 다문화가정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로인해 생겨나는 사회적 문제의 해결방안을 카자흐스탄의 문화적 포용성을 접목하여 생각해보고, 세계화시대에 다양한 문화를 마주할 우리세대가 가져야 할 문화 상대주의적 태도를 고민해볼 것입니다.
 
 
 
 
작성자: 허영범

0 개의 댓글:

댓글 쓰기

 
CORE 야생화(野生花)프로젝트 © | Template by Blogger Templates Gallery collaboration with Life2Work